KOREA TOMORROW 2014

1) Sprout : 2014. 10. 9~11. 2  
2) Culture Print : 2014. 11. 8~11. 30
Location : DDP Design museum
Online contents service : brilliant30
Special Exhibition : Homage to Deleuze

Curated by ARTPLACE
ART PLACE Scope : General planning, Interview with artists, production, promotion etc.

Part I Design Tomorrow

The concept of Sprout(Bal-a, 發芽) is a reference to the direction and volition to focus on and realize the potential of Korean art. It shares the idea of sustaining and developing, taking future-oriented potential with the culture and arts of Korea, the highly regarded collections at the Kansong Art Museum. Hunminjeongeum Haerye Copy will perform that particular role for Part I Sprout.

Hunminjeongeum Haerye Copy supplements the Hunminjeongeum itself with explanations and examples of the principles of the invented system. It is an emblematic treasure of the Korean culture which clearly manifests innovation, artistic talent, pragmatism, science and technology, and King Sejong’s love and care for his subjects. In order to reflect the significance and soul of Hangeul upon the trends of contemporary art in Korea, themes have been subcategorized into Discovery, Interactivity, Imagery, Utility, and Popularity. It is to cherish Hangeul not only as a brilliant heritage, but also as a means to consider diverse future for Korean culture and arts.

Part II Art Tomorrow

Culture Print goes hand in hand with the concept of Sprout, its center mass on the concrete reality of the present and future orientation of the culture and arts in Korea.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ies, particularly in computers and IT, convergence and consilience of knowledge, along with socio-cultural issues such as consideration of ecological, environmental issues, globalism, nomadism mutually influence the topography of art and culture in Korea. Korea Tomorrow is more than a narrative about a vague, veiled, indefinite future. It has always looked to changes of the present initiate dialogue and discussion of new topographies, open doors to communicating and interacting with the public, and to seek new and changing potential. Such efforts are clearly represented in Culture Print of Part II as correlated images of Dokseoyeoga(Taking a Rest After Reading Books) by Jeong Seon* and Miindo(Portrait of a Beauty) by Shin Yun-bok**, presenting the Korean heritage that values leisure and everyday culture that simultaneously embrace pragmatic values and technology. Focus of the second part will be on practical aspect of trends and potential for future development identified in arts and culture of Korea. Focus will be split between subcategories of Hybridity, Information, Identity, Mobility, and Ecology, as coordinates to the current address of contemporary art in Korea.

 

1부 : 발아(發芽) 2014. 10. 9~11. 2
2부 : 문화지형도 2014. 11. 8~11. 30

장소 : DDP 디자인 박물관 (배움터 2층)
온라인 컨텐츠 서비스 : 브릴리언트30 (brilliant30)
2부 특별전 : 오마주 투 들뢰즈(Homage to Deleuze)

1부 : 발아(Sprout)

‘발아發芽’ 개념은 한국 미술의 잠재적인 가능성을 주목하여 이를 미래의 현실로 만들고자 한 ‘투모로우’의 방향성을 살리는 동시에 간송 컬렉션의 소중한 보고들처럼 미래적인 가능성을 가진 한국 문화예술의 맹아를 발전적으로 지속시키고자 하는 맥락과 궤를 같이한다. 1부 발아의 경우 훈민정음 해례본이 그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훈민정음 해례본은 한글의 창제원리를 상술한 국보로, 한글의 창의성, 예술성, 현실성, 과학성과 테크놀로지, 애민정신(대중성)의 의미를 일목요연하게 알 수 있는 우리문화의 대표적인 보고이다. 이러한 한글이 가진 의미와 정신이 동시대 한국 예술의 흐름 속에서 비춰 볼 수 있도록 그저 찬란했던 지나간 과거가 아닌 미래로 계속해서 지속될 수 있는 우리문화예술의 현재적인 의미에 대해 다채롭게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할 것이다. ‘

2부 : 문화지형도(Culture Print) 

‘문화지형도’는 ‘발아’ 개념과 연동되면서, 한국 문화예술의 구체적인 현실과 미래적인 지향에 무게를 둔 개념이다. 컴퓨터, 정보 통신을 포함한 테크놀로지의 급속한 발전, 융합, 통섭의 인문학적 지식환경 변화, 생태, 환경, 글로벌리즘, 노마디즘 등의 제반 사회 문화적 이슈 등은 직간접적으로 동시대 한국미술문화의 지형 변화에도 상호 영향을 주고 있다.’투모로우’는 막연한 미래만을 말한 것이 아니라 바로 이러한 현재의 상황변화를 주목하고, 이러한 변화 속에서 한국미술의 새로운 지형을 공론화시키고, 대중들과 소통하며, 그 달라진 가능성을 모색하려 노력해 왔다. 그리하여 2부 컬처 프린트는신윤복의 미인도를 연관 이미지로 삼아 일찍이 여가와 일상문화의 소중함을 배려하고, 테크놀로지와 실용성을 외면하지 않았던 한국문화예술의 현실적인 흐름 및 그 발전적인 가능성을 주목할 것이다.